![]() |
목소리 신비한 작용 |
목소리 신비한 작용
- 우리 목소리는 단순한 소리가 아니다. 우리를 규정하는 중요한 특징이며 홍보 수단이다. 또한 상대가 어떤 사람인가를 파악하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목소리의 높낮이
- 초조함을 느끼면 목소리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성대가 늘어나면서 가늘어지고, 긴장해서 경직되기 때문이다. 이런 동물적인 반응을 조절하려면 호흡을 바꿔야 한다. 초조가 엄습하면 가슴으로 깊이 호흡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남자 목소리가 저음이면 고음에 비해 힘이 느껴진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매력적이고 유쾌하고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여자의 경우, 목소리가 고음이면 섹시하다는 인상을 주기에는 좋지만 업무적으로 유능하다는 인상을 주기는 힘들다.
기분이 좋을 때도 목소리가 올라가지만 한편으로 거짓말을 하거나 불안할 때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남녀를 불문하고, 대화를 할 때 높낮이에 변화를 주는 것이 좋다. 높낮이에 다양한 변화를 주면 역동적이고, 외향적인 사람이라는 인상을 준다.
변화없이 단조로운 목소리가 이어지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목소리에 다양한 변화를 주는 법을 터득하면 상대가 하는 우리에 대한 판단을 바꿀 수가 있다.
말하는 속도
- 말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느냐, 느리게 하느냐는 어느 정도는 장소와 상황에 달려 있다. 하지만 말하는 사람의 에너지 수준을 말해주는 중요한 단서이기도 한다. 말을 빠르게 하는 사람은 에너지가 높고 말을 느리게 하는 사람은 에너지가 낮다.
감정도 말하는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화가 나거나 흥분한 상태라면, 말이 빨라지고 슬픈 상태라면 말이 느려진다.
- 연구 결과들을 보면 말을 빠르게 하는 사람이 더 설득력 있고 믿음직하다는 인상을 준다. 또한 말을 빠르게 하는 사람이 보다 지적이고 아는 것이 많다는 인상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때로 감탄이 절로날 만큼 속사포처럼 빠르고 정확하게 말을 쏟아내는 사람들이 있다.
워낙 빠른 속도로 정보들을 내뱉는 바람에 듣는 사람이 정보를 처리할 시간이 부족해서 제대로 거르지 못하는 일까지 생긴다. 이런 경우 말하는 사람은 듣는 사람의 '판단 요인'을 우회해 잠재의식에 접근하기가 좀 더 쉬워진다.
상대가 정보를 걸러낼 시간이 없어서 사실상 무방비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정보를 소화하기 편한 적당한 크기로 분할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는 것도 중요한 능력이며, 전문가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세기 혹은 강조
- 말을 할 때 어느 단어를 강조하고 있는가? "저는! 이것이 당신에게 정말 좋은 거래라고 생각합니다"(강조점이 상대가 아닌 당신에게 있다) "저는 이것이 당신에게 정말 좋은 거래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확신은 없다)
"저는 이것이 당신에게 정말 좋은 거래라고 생각합니다" (직접적이다. 바로 여기서 이뤄지는 거래를 강조한다) "저는 이것이 당신에게 정말 좋은 거래라고 생각합니다" (형용사를 강조한다. 이 거래는 정말 좋다)
각각 메시지의 의미에 영향을 미친다.
목소리 크기
- 목소리가 크다는 것은 자신감이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무조건 큰 것 보다는 상황에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방 안에서 이야기를 나누는데 상대에게 소리를 지르는 것은 분명 보기 좋은 모습은 아니다.
상대가 청각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라면 모를까, 공공장소에서 목소리를 높여서 사람들의 마뜩찮은 시선을 받고 싶지도 않을 것이다.
- 연구 결과에 따르면, 외향적이고 지배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 상대적으로 크게 말하는 경향이 있다. 당신이 그런 사람이라면 말을 듣는 상대의 신체언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큰 목소리에 놀라서 자기도 모르게 움츠러들기도 한다.
상대가 그런 신호를 보낸다면 의도적으로 음량을 낮추는 것이 좋다. 영향력 있고 강한 사람이 되려면 반드시 목소리가 커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는 작은 목소리가 부끄러움, 불안, 연약함 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말을 크게 하는 버릇을 들여야 한다. 목소리를 높이는 방법에는 힘을 주는 방법이 있고, 소리자체를 키우는 방법이 있다. 목소리 자체를 키우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 호흡 방법을 바꾼다
- 목소리 톤을 바꾼다
- 목소리가 도달하는 범위, 즉 크기를 바꾼다
귀에 거슬리는 불쾌한 소리는 피해야 한다. 목소리에서 무엇이 되었든 비판적인 분위기를 풍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경멸, 빈정거림, 자만 따위가 목소리에 묻어나지 않도록 항상 유의해야 한다.
관련 글: 제안할 때는 상대 스토리와 연결되어야 한다
관련 글: 고객을 끌어당기는 카피 요소
관련 글: 상대 눈을 보면 많은 걸 알 수 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