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에도 나를 위한 소비 - 미코노미

 

달라진 연말 트렌드 미코노미 

연말에도 나를 위한 소비 


유흥주점, 연말 특수 실종


- 연말 송년회가 달라졌다. 2030세대가 주도하는 조직이나 모임에서는 음주가무 회식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대신 문화/스포츠/자기계발 등을 통해 '미코노미(me+economy, 나를 위한 소비)'를 추구하는 젊은 세대의 취향에 맞춘 새로운 송년 문화가 퍼지고 있다. 

현대카드 법인카드 사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2월 일반주점의 결제건수는 코로나 직전이던 2019년보다 8.1% 감소했다. 노래방과 유흥주점의 결제건수는 각각 23.3%, 38.0% 줄었다. 

구성원끼리 팀워크를 다지고 함께 즐길 수 있는 분야에서 결제가 늘고 있는 것이다. 

기업 문화 바꾸는 미코노미 열풍


- 이런 현상은 미코노미로 대변되는 젊은 세대의 소비 행태가 기업 문화에도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코노미는 자신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곳에 적극적으로 지갑을 여는 소비 행태를 말한다. 

그렇다 보니 젊은 직장인들은 송년 모임을 저녁 술자리보다는 간단한 점심으로 대체하거나 차라리 상품권 등 선물을 받기를 선호한다. 잡코리아가 최근 직장인 109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가장 선호하는 송년회 유형은 점심모임(29.5%)으로 나타났다. 

스파/공연에 호응도 높아


- 최근 기업들이 송년회를 대신해서 증정하는 직원 선물은 스파 이용권, 공연 티켓 등이다. 체험을 중시하는 2030세대 취향을 반영한 선물이다.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에 있는 뷰티 브랜드 '뱀포드'의 스파 매장에는 금융회사를 비롯해서 기업들의 단체 구매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연말 직원 포상용 선물, 송년회 대용 등으로 스파 이용권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 스위스 화장품 브랜드 '벨레다'가 운영하는 한남동 스파도 마찬가지 현상을 보이고 있다. 기업 바우처 구매가 늘면서 이용개의 40%는 2030세대가 차지하고 있다. 한 중소기업은 연말 이벤트로 

장당 14만원인 뮤지컬 '드라큘라' 티켓과 1인 20만원의 호텔 뷔페 이용권을 내걸기도 했다. 연말/연초 수요가 몰리면서 호텔 뷔페와 각종 공연은 이미 '풀부킹'이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