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상 체계에 맞는 의사소통 방법 |
표상 체계에 맞는 의사소통
- 타인의 표상체계에 맞춰서 편안하게 의사소통을 하려면 관련 단어와 표현들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1. 시각으로 소통하는 사람 -보인다
- 이런 사람은 머릿속에서 그림을 본다. 보통 말하는 속도가 빠르며 활력이 넘치는 편이다. 시각 표현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시각에 많이 의존하는 현대 문화 때문에 이런 유형이 많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시각 유형들은 확실히 대화를 주도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색상을 좋아하고, 본인들의 말에 묘사와 관련된 용어를 많이 포함 시킨다. 이런 유형은 술도 눈으로 마신다. 그들을 집중적으로 관찰하면,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위를 잠깐 잠깐씩 쳐다보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마음속 이미지를 보기 위해 마음의 눈을 향해서 시선을 돌리기 때문이다. 그들은 들은 말을 눈에 보이는 그림으로 만들어낸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시각적일수록 그들은 여러분과 함께 있는 것을 편안하게 느낀다.
- 시각적인 사람들은 또한 말을 빠르게 하는 경향이 있다. 이미지들이 빠른 속도로 머릿속을 스치고 지나가기 때문이다. 그림들이 지나가는 속도를 따라잡으려면 말하는 속도도 빠를 수밖에 없다. 시각적인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는
똑같이 종종 위를 쳐다봐주면 친밀한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 이런 행동이 당신이 그와 같다는 무의식적인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2. 청각으로 소통하는 사람 -들린다
- 혼잣말을 한다. 종종 생각을 듣는다. 시각이 지배적인 환경에서도 청각 유형들은 소리를 통해 정보를 처리한다. 청각 유형인 사람에게 뭔가를 시각적으로 묘사하려고 하면 장애물을 만난 그런 기분이 들 것이다.
어떻게든 상대에게 아름다운 그림을 만들어줄 수는 있지만, 생각만큼 효과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소리를 통해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청각 유형들은, 그런 식으로 자신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며, 무의식적으로 여러분도 같은 방법으로 답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 청각으로 소통하는 사람들은 시각 유형에 비해서 말하는 속도 높이, 목소리 톤 등에 변화를 많이 준다. 목소리에 마치 음악처럼 곡조가 있을 수도 있다. 소리에 민감하기 때문에 대화중에 상대의 얼굴을 보고 있어도 가볍게 스치는 정도지, 집중해서 보지는 않는다.
얼마나 매력적이냐에 상관없이 상대의 얼굴은 집중과 이해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상대가 하는 말을 처리하려고 노력하면서, 고객를 돌리고 오른쪽이나 왼쪽을 볼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그들은 머릿속에서 이미지가 아닌 말을 처리할 수 있는 그런 상태에 빠져들려고 노력한다.
청각 유형인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는 같이 옆쪽의 특정 지점을 바라봄으로써, 친밀감을 높일 수가 있다. 이건 상대와 당신이 비슷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다.
3. 촉각으로 소통하는 사람 - 느껴진다
- 감정적인 사색가, 감정에 호소하는 화자다. 촉각 유형은 공감에 능하고 감정적이다. 감정에 접근하는 동안 아래를 보는 경향이 있다. 항상 그렇지만 결론을 내리기 전에 상황을 가늠해 봐야 한다. 사랑하는 이를 잃은 사람이라면, 슬픔 때문에 아래를 볼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이런 경우라면 아래를 보는 것이 주로 촉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그가 감정을 가진 사람이라는 의미일 뿐이다.
- 선호하는 표상체계가 촉각인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사물은 물론 스스로를 만지는 것을 좋아한다. 그들이 뭔가를 살까 고민하고 있다면 물건을 만져보고 느껴봐야 한다. 또한 타인에게 먼저 손을 내밀고 악수를 청하는 것을 편안하게 생각한다.
접촉은 우리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서 많은 것을 말해준다.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이 강할수록, 먼저 접촉을 시도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방식도 역시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유형과 이야기할 때는 가끔 아래를 흘끗 보아서 당신이 감정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손을 뻗어 가볍게 상대를 만지면서 같은 표상 체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 시켜 줘라. 그렇게 함으로써 더욱 강한 유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관련 글: 다리는 상대의 기분을 알려준다
관련 글: 자기 충족적 예언 현상
관련 글: 기억이 경험이 되는 순간을 만드는 요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