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은 사람 감정 행동 결정 |
생각 = 감정과 행동 결정
- 불안장애나 우울장애부터 식이장애, 부부 문제, 직장 문제까지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치료하는 데 인지치료의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은 이미 증명되었다. 어떤 생각이 지배하는가에 따라 사람의 감정과 말과 행동이 달라진다.
생각은 뇌 속에서 화학물질이 방출되고, 전기신호가 이동하면서 발생한다. 생각은 그 사람의 감정과 행동을 결정하는 생물학적인 토대가 되고, 감정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화나고, 불쾌하고, 슬프고, 짜증나는 생각을 하면 뇌 속에서는 부정적인 화학물질이 방출되고,
이렇게 방출된 화학물질은 심층변연계를 활성화하고, 신체적인 반응을 일으킨다. 화가 났던 순간을 돌이켜보면, 신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화가나면 근육이 긴장하고, 심박동이 빨라지며 손에는 땀이 흐른다. 어지러움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즐겁고 행복하고 희망차고 흐뭇했던 순간을 생각하면
- 뇌에서는 변연계를 안정시키는 화학물질을 방출하고 신체는 좋은 반으을 나타낸다. 행복한 순간 근육은 이완되고 심장은 천천히 뛰며 손은 보송보송하고 호흡도 안정적이다. 이렇게 긍저적이거나 부정적인 스트레스에 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탐지하는 기계가 거짓말 탐지기다.
거짓말 탐지기 테스트에서 피실험자는 손의 온도, 혈압, 호흡수, 근육 긴장, 손에 나는 땀의 양을 측정하는 장비를 장착한다. 실험자가 피실험자에게 질문을 했을 때 피실험자의 대답이 거짓이면 몸은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킨다.
손이 차가워지고, 심장 박동이 빨라지며, 혈압은 상승하고, 호흡이 가빠진다. 근육이 긴장하고 손에는 땀이 많이 난다. 진실을 말하건 아니건 간에 피실험자의 신체반응은 생각과 거의 동시에 일어나며, 감정 상태를 신체적 반응으로 해석하는 역할은 심층변연계가 맡는다.
피실험자가 진실을 말하고 있다면
- 몸은 '이완' 반응을 보인다. 손은 따뜻해지고, 심박동은 느리며 혈압은 떨어진다. 또 호흡은 차분하고 깊어지며, 근육은 이완되고 손에 땀이 차지 않는다. 어떤 식이건 몸은 생각에 반응한다. 이는 꼭 진실 혹은 거짓을 판명할 때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일, 친구, 가족 등 무엇에 관한 생각이든 몸은 반응을 나타낸다.
생각은 강력하다
- 생각은 마음과 몸을 조정한다. 마음과 몸을 좋게 만들 수도 있고 나쁘게 만들 수도 있다. 감정이 폭발하면 두통이나 복통 같은 신체적 증상이 동반되는 것이 그 이유다. 몸은 생태계와 같다. 생태계는 물/땅/자동차/사람/동물/식물/집/쓰레기 등 모든 환경요소를 포함한다.
부정적인 생각은 몸이라는 생태계에 일어난 공해와 같다. 부정적인 생각은 심층변연계와 마음과 몸을 모두 오염시킨다. 생각은 거의 자동적으로 발생하지만, 생각이 반드시 옳거나 진실만을 말하는 건 아니다. 때로는 거짓말을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생각이 진실이라고 믿고, 생각에 도전하거나 생각을 좋은 방향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
생각은 바꿀 수 있다
- 그냥 화나거나 부정적인 생각에 머무를 수도 있지만, 생각을 긍정적이거나 희망적인 방향으로 바꾸는 훈련을 할 수도 있다. 일단 생각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사고를 선택할 수 있다.
인지치료는 생각과 기분을 바꾸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생각에 도전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생각이 부정적으로 기울 때 자신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차리고, 지금 일어나고 있는 부정적인 생각이 맞는지 점검해보는 것이다.
아무 의문 없이 부정적인 생각을 받아들이면, 몸도 마음도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낼 수밖에 없다.
관련 글: 심리 방어적 행동 12가지
관련 글: 전의식이 '의식'을 결정한다
관련 글: 내면의 평화를 위한 '간단한' 방법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