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동자 움직임 생각 |
눈동자 움직임으로 상대 생각 읽는 방법
- 사람이 특정한 감각적 경험을 떠올리거나 상상할 때, 눈동자의 움직임은 일정한 패턴을 보인다.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에서는 이를 '안구 접근 단서'라고 부르며, 시각(V),청각(A), 촉각(K), 내적 언어(Ad)의 네 가지 주요 감각과 관련 있다.
1. 시각적 접근 유형 (Visual Processing)
1) Vc(Visual Constructed) - 창조/구성 시각
- 한 번도 본 적 없는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상상할 때
- 눈동자가 왼쪽 위로 향한다.
예시) "손흥민이 홈런을 치는 장면을 떠올려보세요"
"바퀴가 7개인 자동차를 상상해보세요"
2) Vr(Visual Remembered) -회상 시각
- 과거의 기억을 떠올려 시각적으로 재현 할 때
- 눈동자가 오른쪽 위로 향한다.
예시) "초등학교 시절 교정과 교실은 어떤 모습이었나요?"
"어제 본 영화 주인공의 헤어스타일은 어땠나요?"
2. 청각적 접근 유형(Auditory Processing)
1) Ac (Auditory Constructed) - 구성 청각
-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소리나 이야기를 상상할 때
- 눈동자가 왼쪽 중앙으로 향한다.
예시)
" 세종대왕이 당신을 부른다면, 그의 목소리는 어떻게 들릴 것 같나요?"
"외계인이 우리에게 말을 한다면, 그 목소리는 어떤 느낌일까요?"
2) Ar (Auditory Rememvered) - 회상 청각
- 과거에 실제 들었던 소리를 기억하며 떠올릴 때
- 눈동자가 오른쪽 중앙으로 향한다.
예시)
"하루를 마치고 이불 속에 누웠을 때 들리는 소리는?"
"절에서 울리는 종소리를 기억할 수 있나요?"
"제일 좋아하는 노래의 첫 소절이 어떻게 시작하나요?"
3. 내적 언어 (자기 대화) 유형
Ad (Auditory Digital) - 내적 언어, 자기 대화
- 마음 속으로 혼잣말을 하거나 논리적으로 사고할 때
- 눈동자가 오른쪽 아래로 향한다.
예시)
"교가가 기억나시나요?"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배운 시 중에서 기억나는 시가 있나요?"
4. 촉각 및 신체 감각 유형 (Kinesthetic Processing)
K (Kinesthetic) - 촉각, 신체 감각
- 감정, 촉각, 신체적 느낌과 관련된 정보를 떠올릴 때
- 눈동자가 왼쪽 아래로 향한다.
예시)
"누군가 나의 어깨에 손을 올리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구두를 신고 정장을 입었을 때의 느낌은?"
"추운 겨울날, 따뜻한 이불 속에 들어갔을 때의 감각을 떠올려보세요"
안구 접근 단서 연습 (Eye Accessing Cues Practice)
- 질문 예시
1) 시각적 질문 (Visual Processing)
- "어제 본 영화 주인공의 헤어스타일은 어땠나요?"
- "바퀴가 7개인 차를 그려보세요"
2) 청각적 질문 (Auditory Processing)
- "세종대왕이 당신을 부른다면, 그의 목소리는 어떨 것 같나요?"
- "가장 좋아하는 노래의 첫 소절이 어떻게 시작하나요?"
3) 내적 언어 및 사고 (Auditory Digital)
- "고교 시절 국어 시간에 배운 시 중 기억나는 시가 있나요?"
-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나요?"
4) 촉각 및 신체 감각 질문 (Kinesthetic Processing)
- "구두 신고 정장을 입었을 때 어떤 느낌인가요?"
- "비 오는 날 신발에 물이 들어갔을 때의 기분은?"
눈동자 움직임으로 생각 읽는 방법 요약
- 안구 접근 단서는 인간의 감각적 정보 처리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사람마다 특정한 방식으로 정보를 떠올릴 때 눈동자의 움직임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통해 사고 패턴과 감각적 접근 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
- NLP 기법을 활용하면 상대방의 정보 처리 방식(V,A,K,Ad)을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