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대 언어 이해하는 방법 |
NLP 커뮤니케이션 - 내적표상의 외적 증표
- 언어보다 더 신뢰성이 있는 정보로, BMIR(내적표상의 외적증표)는 개인의 선호하는 표상 체계에 따라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교육, 상담, 코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타인의 선호 표상 체계를 파악해서 라포(Rapport)를 형성하고, 보정 및 리딩 하는 데 도움이 된다.
1. 선호 표상에 따른 접근 단서
표상 체계 | 호흡 방식 | 얼굴 표정 | 눈동자 움직임 | 신체 자세 | 목소리 톤 & 속도 | 주요 표현 | 선호 학습법 |
---|---|---|---|---|---|---|---|
시각(V) | 얕고 빠른 호흡 | 가늘게 빛나는 눈 | 주로 위로 올라감 | 머리를 뒤로 기대고, 어깨를 올리거나 둥글게 함 | 높은 음조, 빠른 속도 | "전망이 밝다", "눈앞에 선하다", "요점이 보이지 않는다" | 사진, 그래프, 도식화 |
청각(A) | 횡경막식 호흡 | 미간을 찌푸림 | 옆으로 빈번하게 감 | 몸을 앞으로 기대고 머리를 곧추세움, 팔짱을 자주 끔 | 파동치는 멜로디, 중간 속도 | "듣기 좋은 이야기", "박자를 맞춰라", "리듬이 안 맞다" | 듣기 중심, 단어 사용에 민감 |
촉각/운동감각(K) | 깊은 복식호흡 | 근육 긴장이 풀어짐 | 주로 아래로 내려감 | 머리와 어깨가 아래로 쳐짐, 몸을 천천히 움직임 | 낮고 차분한 톤, 느린 속도 | "마음이 무겁다", "편안한 사람이에요", "오금 저리는 이야기" | 직접 체험, 실습 중심 |
2. 표상 체계별 주요 특징
1) 시각적(V) 유형 특징
- 결과 지향적이며, 효율과 효과를 중시
- 생각을 이미지화하며, 빠른 판단을 내린다.
- 눈으로 보는 정보(그래프, 차트,사진 등)를 선호
- 빠른 말 속도와 높은 톤의 목소리를 사용
- 전망이 밝다, 눈앞에 선하다 등 시각적인 표현 사용
2) 청각적(A) 유형 특징
- 이론적이고 논리적 사고를 선호
- 소리와 언어에 민감, 듣기 능력이 뛰어나다
- 중간 속도의 말과 파동치는 목소리 사용
- 리듬과 음조에 민감하며, 음악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 박자를 맞춰라, 듣기 좋은 이야기 등 청각적인 표현 사용
3) 촉각/운동감각(K) 유형 특징
- 느낌과 경험을 중요하게 여긴다.
-행동 중심적이며, 직접 체험하는 학습 방식 선호
- 낮고 차분한 목소리 톤, 느린 말 속도 사용
- 몸으로 표현하는 행동이 많음 (예:팔짱 끼기, 손으로 만지기 등)
- 마음이 무겁다, 편안한 느낌 등 촉각적 표현 사용
3. NLP 커뮤니케이션 활용 방법
1) 라포(Rapport) 형성을 위한 방법
- 상대방의 선호 표상 체계를 파악해서 동일한 방식으로 대화하기
- 시각적 유형에게는 차트/이미지를 활용해 설명하기
- 청각적 유형에게는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적절한 음성 변화 주기
- 촉각/운동감각 유형에게는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달하기
2) 보정(Pacing)과 리딩(Leading) 전략
- 상대방이 사용하는 호흡, 말의 속도, 몸짓을 맞추며 자연스럽게 조율하기
- 상대방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선호하는 학습 방식으로 정보 제공하기
- 자연스럽게 상대방을 리딩해서 대화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 NLP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한 대화 기술이 아니라, 상대방과 효과적으로 연결되고, 신뢰를 형성하는 강력한 도구다. 각 유형에 맞는 접근법을 활용해서 커뮤니케이션의 질을 높여보자.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