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와 미움 없는 건강한 인간관계 맺는 방법

 

건강한 인간관계 방법 

상처와 미움 없는 인간관계 맺기 


정서적으로 성숙한 사람이 되어 타인과의 의견 차이를 받아들여라. 타인은 내 말에 반대할 자격이 당연히 있다. 마찬가지로 나도 타인의 말에 반대할 자유가 있다. 화내지 않고도 반대할 수 있다. 

- 사람들이 나에 대해 생각해 줬으면 하는 대로 사람들을 생각하라. 
- 사람들이 나에 대해 가졌으면 하는 느낌을 사람들에게 가져라. 
- 사람들이 나에게 했으면 하는 행동대로 사람들에게 행동하라. 


예를 들어, 회사 동료에게 정중하고 예의 바르게 대했는데 정작 그 동료는 매몰차게 등 돌리는 모습을 보고, 마음속에 동료에 대한 비판과 원망을 품었다고 해보자. 이런 부정적인 생각은 독약을 마시는 것처럼 매우 파괴적으로 작용한다. 

내가 만들어 내는 부정적인 에너지는 내 안의 활력/열정/힘/인도/선의를 빼앗아 간다.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이 잠재의식에 스며들면 삶에서 온갖 문제와 병이 나타난다. 

행복한 관계의 비결 


- 타인에 대한 생각은 나만의 생각일 뿐이다. 생각하는 사람이 바로 나 자신이기 때문이다. 생각은 창조적이다. 따라서 타인을 향한 내 생각과 느낌은 실제로 그 사람을 대할 때 내가 느끼는 경험을 만들어 낸다. 


타인에 대한 의견은, 자신에 대한 의견이기도 하다. 내 마음이 그 의견을 만들어 내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인격이 없는 잠재의식은 불변의 성질을 지녀서 사람을 가리지 않으며, 어떤 종류의 종교나 제도도 고려하지 않는다. 

잠재의식은 동정심도 앙심도 품지 않는다. 타인을 향한 생각, 느낌, 행동은 결국 자신에게 그대로 돌아온다. 

화내지 않고도 반대할 수 있다 


- 나 자신을 관찰하는 일부터 시작하라. 사람, 조건, 상황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하라. 관찰한 내용을 공책에 적은 후에 연구하자. 하루에 있었던 일이나 소식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모든 사람이 틀렸는데, 나만 맞았다 해도 달라지는 것은 전혀 없다. 

신문을 읽고 불안해진다면 그것은 내 탓이다. 내 안의 불안정한 감정이 평화와 조화를 앗아갔기 때문이다. 

정서적으로 성숙해져라 


- 타인의 말은 내가 허락하지 않는 한 나를 짜증 나게 하거나 방해할 수 없다. 타인이 나를 속상하게 만드는 유일한 방법은, 내 생각을 통해서다. 화가 나는 것은 마음속에서 생각, 감정, 반응, 행동이라는 4단계를 거치기 때문이다. 

화를 내는 사람은 먼저 방금 들은 말을 생각하기 시작한다. 이어서 화를 내기로 한 뒤 분노라는 감정을 만들어 낸다. 그 감정에 반응해 행동하기로 결정한 다음에는, 자신을 화나게 만든 사람을 뒤에서 욕하거나 같은 말을 되돌려 준다. 


- 정서적으로 성숙하다는 것은 타인을 비판하고 타인에게 원한을 품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자연스럽지만 유치한 감정대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판을 듣거나 하찮은 취급을 당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비판과 과소평가의 대상이 되었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자신이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정서적으로 성숙한 사람은, 부정적인 방식으로 맞대응하지 않는다. 상대방과 똑같은 방식으로 답하는 것은, 

비판하는 사람과 똑같은 수준으로 내려가 타인에게 부정적인 기운을 뿜는 사람이 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삶에서 내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걸맞은 모습을 스스로 찾아라. 그 어떤 사람, 장소, 물건도 평화롭고 평온하게 빛나는 나의 내면을 완성하는 일을 방해하지 못하게 하라. 

사랑은 베풀수록 돌려 받는다


- 프로이트는, 사랑받지 못하는 인격은 병들어 죽는다고 말했다. 사랑은 이해, 선의, 타인의 신성을 향한 존중을 포함한다. 더 많은 사랑을 베풀수록 더 많은 사랑을 돌려받는다. 누군가의 자아에 상처를 입혀서 그 사람의 가치를 떨어뜨렸다면, 

그 사람에게서는 선의를 기대할 수 없다. 모든 사람은 사랑과 인정을 받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모든 사람은 자신이 이 세상에서 중요한 존재임을 느낄 필요가 있다. 모든 사람은 자신의 진정한 가치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나와 마찬가지로, 다른 모든 사람도 삶을 살아가며 자존감을 느낀다. 이 사실을 의식적으로 인식한다면 타인과 좋은 관계를 구축해서 그로부터 사랑과 선의를 되돌려 받을 것이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