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끌어당김 성공하는 방법 |
끌어당김 성공하는 방법
- 믿는 다는 것은 무언가를 진실로 받아들이고, 그 상태로 살아가려는 의지다. 믿음을 계속 유지하면 기도에 응답받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 성공적인 끌어당김을 위한 3단계가 있다.
끌어당김 3단계
1. 문제를 파악하고 인정한다.
2. 잠재의식에 문제를 맡긴다. 잠재의식은 문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3. 문제가 해결되리라 확신하고 마음을 편하게 가진다.
의심과 망설임은 효과를 떨어뜨릴 뿐이다. "병이 나았으면 좋겠다" 또는 "효과가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자신에게 말하지 마라. 마음속에 드는 느낌이 일의 성패를 결정짓는다. 조화와 건강은 내 것이고, 잠재의식의 무한한 치유력이 나를 통해 효과적으로 발산된다.
확신을 가지고 건강하다는 생각을 잠재의식에 보낸 후 마음을 편하게 하고 잠재의식에 나를 맡겨야 한다. 조건 이나 상황 앞에서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고 말하라. 마음을 놓고 확신하면 잠재의식에 나의 아이디어가 새겨진다.
이는 잠재의식을 활발하게 움직이게 해서 아이디어가 구체적으로 실현되도록 한다.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안 되는 이유
- '의지력으로 실패를 극복 하겠어'라는 생각은 '실패'에 힘을 싣는다. 정신적인 노력은 점점 자기 패배로 이어지고, 원하는 것과 정반대의 결과를 낳기도 한다. 의지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다 보면 무력감이 도드라진다.
예를 들어 '초록색 하마'라는 말을 들었을 때, 초록색 하마를 생각하지 않고는 배길 수가 없다. 의지력을 행사하는 건 초록색 하마가 계속 생각나는데 그만 생각하기로 결정을 내리는 것과 같다.
잠재의식은 항상 마음을 강력하게 지배하는 생각에 반응하기 때문에 초록색 하마가 마음을 지배하면 잠재의식도 초록색 하마에 응답한다. 잠재의식은 서로 모순되는 명제 중 더 강력한 것을 받아들인다. 아마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다.
- 병이 나았으면 하는 데 왜 병이 낫지 않는 걸까?
- 정말 열심히 노력했는데 왜 성과가 없는 걸까?
- 더 열심히 끌어당겨 봐야겠다.
- 모든 의지력을 동원해야겠다.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깨달아야 한다. 문제는 너무 열심히 노력한다는 것이다. 의지력을 써서 잠재의식이 생각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해서는 안 된다. 이런 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고, 기도한 내용과 정반대의 결과를 낳기도 한다. 애를 쓰지 않으면 차라리 더 좋은 성과가 나온다.
욕구와 상상의 갈등을 해소한다
- 정신력이나 의지력을 사용한다는 건 반대로 작용하는 힘이 있다는 걸 전제한다. 하지만 원하는 것과 반대되는 내용을 상상할수록 실제와 반대의 결과로 이어진다. 만약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헤쳐 나가야 하는 장애물에 온 신경이 쏠려 있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수단에는 관심을 쏟지 못할 것이다. 노력이 최소한으로 드는, 졸리고 나른한 상태로 들어가면 욕구와 상상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졸린 상태에서 현재의식은 가라앉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막 잠들기 전이 잠재의식에 아이디어를 새기기 가장 좋은 타이밍이다. 왜냐하면 잠들기 전과 잠에서 막 깨어났을 때 잠재의식이 수면으로 떠오르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는 소망을 억누르고 잠재의식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걸 막았던,
부정적인 생각과 이미지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소망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걸 상상
- 상상하고 짜릿한 성취감을 느낄 때 잠재의식은 소망을 실현한다. 그래서 많은 위인은 상상을 유도하고, 상상력을 제어하고 훈련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었다. 진짜라고 상상하고 느끼는 일이 현실에서 반드시 일어 나리라는 걸 알고 있었던 것이다.
관련 글: 뇌의 인지과정 6번째 감정
관련 글: 기억이 경험이 되는 순간
관련 글: 티나지 않게 상대를 설득하는 방법
댓글 쓰기